윤석열 재구속 촉구 서명운동 | "내란 우두머리, 더는 자유롭게 둘 수 없습니다" | 세상 모든 정보

윤석열 재구속 촉구 서명운동 | "내란 우두머리, 더는 자유롭게 둘 수 없습니다"

여러분의 서명이 곧 정의입니다. 참여 방법은 아래에서 바로 확인해보세요.



지금 바로 서명에 참여하세요!

사진 출처 = 연합뉴스

  • 주최: 군인권센터 (소장 임태훈)
  • 서명 기간: 2025년 4월 14일 ~ 4월 21일
  • 제출 대상: 서울중앙지법 형사합의25부 (재판장 지귀연)
  • 참여 방법: 온라인 서명 (링크 클릭 후 정보 기입)
  • 목표 인원: 10만 명

👉 서명운동 참여하기



왜 윤석열 재구속 서명이 필요한가?

윤석열 전 대통령은 내란 혐의로 기소됐지만, 지귀연 재판부의 '시간 단위 구속기간 계산'이라는 이례적인 해석으로 구속이 취소됐습니다.
이에 따라 윤 전 대통령은 현재 자유로운 신분으로 재판에 임하고 있으며, 이에 대한 논란이 커지고 있습니다.

군인권센터는 이를 “전례 없는 해괴한 판단”이라며, 형평성과 법적 책임을 지적하고 있습니다.

 


군인권센터의 강경한 입장


  • 내란 우두머리 불구속은 위험하다
    윤석열은 헌재로부터 대통령직에서 파면됐지만, 내란 범죄에 대한 법적 단죄는 이루어지지 않았습니다.
    군인권센터는 "자유의 몸인 윤석열이 지지자들을 선동하고, 내란 공범들과 접촉하며 위험 신호를 보내고 있다"고 경고합니다.

 

 
  • 재판 특혜 논란
    윤 전 대통령은 법정 출두 시 일반 피고인과 달리 지하 통로를 이용해 언론 노출을 피하고, 불구속 상태로 재판을 받고 있는 점이 특혜로 지적됩니다.
  • 검찰의 소극적 태도
    첫 공판에서 검찰은 국회·선관위 침탈 및 시민 폭력 등 핵심 내용을 언급조차 하지 않았으며, 재구속 의지조차 보이지 않았습니다.

윤석열의 주장과 반박

윤 전 대통령은 혐의를 전면 부인하며 “비상계엄은 쿠데타가 아니었다”고 주장하고 있습니다.
그러나 군인권센터는 이를 “말장난에 불과한 자기합리화”라고 평가하며, 국가 전복 시도 자체가 이미 헌정질서 파괴 행위임을 강조합니다.

또한 윤 전 대통령은 “유혈 사태는 없을 예정이었다”고 항변했지만, 이는 계획된 체포와 권력 장악 시나리오가 있었음을 방증하는 자백이라는 반론이 제기되고 있습니다.

 

 

 

시민 행동의 의미

지금 윤 전 대통령이 불구속 상태로 재판을 이어간다면, 내란 주범이 실질적 단죄 없이 벗어날 수 있는 전례를 만들게 됩니다.
군인권센터는 “이제 시민의 이름으로 윤석열을 다시 감옥으로 보내야 할 때”라고 강조합니다.

  • 내란수괴에게 어울리는 집은 서초동 호화 아파트가 아닌 감옥입니다.
  • 재판부의 이상한 계산법에 시민의 정의가 응답해야 합니다.

Q&A

Q. 서명은 실명으로 해야 하나요?
A. 네, 탄원서 제출용이므로 실명 기반 서명 참여가 원칙입니다.

Q. 내 서명이 실제 영향이 있을까요?
A. 군인권센터는 모든 서명을 취합하여 재판부에 정식으로 제출할 계획이며, 이는 여론의 압박으로 작용할 수 있습니다.

Q. 온라인 외에도 서명 방법이 있나요?
A. 오프라인 현장 캠페인도 병행 중이며, SNS를 통해 일정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.


내란 청산은 아직 끝나지 않았습니다.
윤석열 전 대통령의 책임을 묻고, 정의로운 재판을 촉구하기 위한 당신의 서명 한 줄이 필요합니다.

👉 윤석열 재구속 서명 참여하기
지금, 바로 행동하세요.

다음 이전